HTML(8)
-
21 HTML_4 [ table ]
표를 만드는 테이블 태그 기본적으로 태그 행을 구분 짓는다. 태그 제목 셀을 나타낸다. 태그 셀을 정의할 때 사용 태그 표의 설명 또는 제목을 나타낸다. 표의 제목 table태그 아래에 위치해야 한다. 태그 열을 묶어 스타일을 지정할 때 사용한다. 태그 테이블의 상단부를 뜻한다. 데이터의 분류를 묶어 표기(표의 헤더) 할 때 사용한다. Month Savings 태그 실질적 데이터들이 들어가는 공간 thead 나 tfoot은 용도에 따라 사용 , 미사용 할 수 있으나, tbody는 반드시 사용되며, tbody 만 있는 테이블 일 경우 tbody 마크업 자체는 생략 가능하다. January $100 February $80 태그 테이블의 하단부를 뜻한다. 데이터의 총합 , 통계 등을 표기(표의 푸터) 할 때 ..
2021.05.19 -
21 HTML_3 [ hyperlink ]
하이퍼링크의 태그는 'a' 네이버 다음 속성 href 불러오는 url 또는 type 설정 target 불러오는 방식을 설정 target 지정 안 하면 _self target="_self" 현재 페이지에서 불러오는 방식 target="_blank" 새 창으로 실행됨 파일 다운로드 파일 다운로드 href 경로를 맞게 써줘야 하고, 맞는 확장명을 적어주고, download 속성을 적어줘야 함 파일이 다운로드됨 메일 보내기 메일 보내기 mailto > 이 사람에게 메일 보내겠다 ?subject= 메일 제목 지정 전화 걸기 전화 걸기 tel > 전화 +8210 >한국/010
2021.05.14 -
21 HTML_2 [ media ]
먼저 유튜브에서 원하는 동영상을 고른다. 공유를 누르면 '퍼가기'라는 버튼이 있다. 누르게 되면 iframe으로 코드가 나오는데 그것을 복사해서 붙여 넣어 주면! 이렇게 영상이 나오게 된다! 혹은 https://youtu.be/O71LwlpZAH0 옴걸 이쁜거 같이 봅시다 링크를 복사해서 embed 태그로 바꿔주면 html 4.01, xhtml 에서는 iframe을 사용하도록 하고, html5 일 경우 embed를 사용하길 권장한다. video audio autoplay video, audio 동일 속성값, 자동 재생 controls video, audio 동일 속성값, 재생영역에 제어버튼을 활성화 하는 속성값 loop video, audio 동일 속성값, 반복 재생을 시키는 속성값 preload vid..
2021.05.14 -
21 HTML_2 [ image ]
이미지를 넣을 수 있는 기본 코드 속성 값 중 가장 중요 alt, width, height src 경로 alt 대체 텍스트 width 너비 height 높이 src = "images폴더 안에 / 파일 명" 같은 폴더 안에 있을 경우 가능 다른 폴더에 있다면 폴더명 적어줘야 함 [ ../ ] 상위 폴더 표시 혹은 이미지를 이 경로로 지정을 하게 되면 사이즈로 나오게 된다. (언제 써먹는지는 모르겠다..)
2021.05.14 -
21 HTML_2 [ list ]
list 순서가 상관없는 리스트 순서가 없는 리스트 순서가 없는 리스트 순서가 없는 리스트 기본적으로는 꽉 찬 원으로 표시가 된다. 순서가 없는 리스트 빈원 순서가 없는 리스트 찬원 순서가 없는 리스트 네모 type = " " circle ○ disc ● square ■ 순서가 상관있는 리스트 순서가 있는 리스트 순서가 있는 리스트 순서가 있는 리스트 순서가 있는 리스트 알파벳 순서가 있는 리스트 알파벳 순서가 있는 리스트 로마숫자 순서가 있는 리스트 로마숫자 순서가 있는 리스트 아라비아 숫자 type = " " A A, B, C a a, b, c I I, II, III i i, ii, iii x 1, 2, 3 안녕하세요 1 안녕하세요 2 안녕하세요 3 ul 혹은 ol 태그에 type 지정해서 사용하면 됨!
2021.05.13 -
21 HTML _1
에디터 Visual Studio Code 1. 확장 부분에서 'Korean' , 'Live Server'를 다운로드한다. Korean 은 언어를 한국어로 설정한다. 설치를 하게 되면 밑에 Restart 버튼이 뜨는데 재시작을 해야 한국어로 사용할 수 있다. Live Server는 수정후 저장을 하면 수정된 작업 환경을 바로 볼 수 있게 해 준다. 사용 방법은 아래 하단에 Go Live라고 있다. 단축키는 Alt + L 입력 후 Alt + O 라고 구글링을 통해 얻었다. Live Server를 끄려면 Go Live 부분에 Port를 누르면 꺼진다. 작업 환경 만들기 먼저 새 폴더를 만들어 준다. 주의! 한국어 x , 띄어쓰기 x 그다음에 새로운 파일을 열어 저장을 해준다. 한국어 x , 띄어쓰기 x 처음엔..
2021.05.13